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항해99 5주차(2021.3.29 - 4.4) WIL - 리액트 심화반, 클론코딩
    항해99_WIL 이따금씩 TIL 2021. 4. 4. 12:40

    이번주 이야기는 크게 다음 3가지다. 리액트 심화, 클론코딩, 자극 받은 부분

    1. 리액트 심화주 

    • 기초주에서 배우고 실습해본것이 있으니 더 이해가 쉽고 과제도 수업 내용의 연장이라 안도하고 호기롭게 시작했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개념 이해에 애를 먹으면서 수업 진도는 기초주보다 오히려 더 느렸고, 리덕스를 잘 이해하지 못해서 과제에서 애를 먹었다.

    • 예전에 스윙댄스를 한창 배우던 시절에도 처음 접하는 동작 여러개를 짧은 시간 동안 배우면 머릿속에 금방 들어오지 않고 같은 수업을 들으면 그제서야 저번 수업에도 똑같은 걸 배웠지만 이제서야 이해하는구나 싶었던 것과 같은 현상이 이번에도 어김없이 찾아왔다. 처음이라 머릿속에 정보가 마구 들어오는 시점이니 흡수되는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기 때문이니, 당연한 현상이다. 

    • 애먹은 리덕스 : 심화주 수업에서는 로그인에서 입력하는 정보들을 리덕스를 이용해 리액트 요소들에게 뿌려주는 것을 배웠다. 앞으로 웹서비스를 하려면 사용자 정보들을 클라이언트에서 받아서 서버에서 저장하고, 클라이언트 요청대로 가공해서 웹화면에 뿌려주는 작업은 필수로 있으니 꼭 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그냥 연습 과정의 하나가 아니라 실무 필수 능력이다. 이점을 심화주 말미에 알게 되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지난주에 리덕스 사용법을 해멘걸 해결하지 못한게 여기서도 발목을 잡았다. 50% 정도의 이해를 했다고 생각하지만, 자유자재로 사용하려면 원리를 깨쳐야 한다. 심화주에서 못한 이 리덕스-서버통신 부분은 클론코딩 주에도 당연히 하게 되었으니, 클론코딩 기간을 활용해 이것의 이해도를 80% 이상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 앞으로 과제 : 리덕스 종결자가 되는것, 리덕스를 이용해 못다한 좋아요를 클론코딩주에 구현하는 것.

    • 리액트 심화주 과제 결과물 : 매거진 다이어리 만들기

    • 결과물에서 아쉬운 점: 

      • 내용물이 화면을 꽉 채우는 대신 가운데 부분에만 오게 하는 것이 더 깔끔 했을 듯. 이건 배치법을 더 배워서 해결하겠다

      • 좋아요 갯수를 구현하지 못함 : 리덕스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 레이아웃 구현하는 코드에 잔실수가 많았음 : 다른 분들의 코드와 비교해 개선점을 찾는다.

    2. 클론코딩

    드디어 프론트와 백의 만남! 아쉽게 백엔드 한분이 좋은 기회가 왔는데 놓칠 수 없다며 하선하셔서 아쉬웠다. 그래도 좋은 분들을 만났으니 힘을 내서 할 것이다.

    이번주의 목표는 아래와 같다 

    1. 리덕스를 이해하고, 리덕스 사용능력을 요구수준의 80% 이상 달성한다.
    2. 일종의 실전연습이므로, css 사용 능력과 블록 배치 능력을 기른다

    우리 조의 클론코딩 목표 사이트 : 인스타그램

    인스타그램이 나에게 좋은 이유 : 인스타그램으로 클론코딩하는 교육 영상이 많으니 도움 받을 수 있고, 좋아요가 있어서 리액트 심화주에 못한 좋아요를 구현할 수 있다

    인스타그램 클론 코딩 진행 모습

    지금은 어렵긴 하지만, 사진이 들어갈 때 짜릿함은 정말 좋았다! 그리고 기존에 배웠던 html + css를 리액트로 바꾸는 연습이 되는데, 내 수준에 맞게 할 수 있어서 딱 맞는 교육과정이라는 생각에 더 의욕이 생긴다.

    클론코딩의 방향성에 관한 튜터님의 조언

    1. 클론코딩의 목표는 로그인, CRUD를 내것이 되는 연습과정. 그러므로 완전히 똑같이 만드는게 본질이 아니므로, 그 사이트의 성격에 꼭 맞는 부분만 구현하기로하고 나머지는 과감히 하지 말라. 시간이 남으면 하고 싶은 부분을 더 해보라. 지금은 내 손에 익히는 단계다.
    2.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는 변경 사항이 생기면 바로바로 소통을 하라. 나중에 소통하면 꼬인게 많을 것이다.
    3. 서버 연결 전에 프론트엔드는 mock api로 서버가 연결 되었을때 어떻게 구현될지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좋다.

    3. 다른 분들에게 자극 받은 부분

    쉽게 빠르게 하는 분에게 받은 조언

    1. 알고리즘 첫주차에 같이 하고 리액트 과제도 쉽고 빠르게 해내기로 소문난 분에게 공부법에 관해 조언을 청해 들었다.
    2. 고딩때 별 공부를 하지 않는 것 같은데 수학을 엄청 잘했던 친구의 느낌이 이분에게서 났다. 예전에는 그냥 머리 좋은 사람이다 싶고 열등감을 느꼈지만, 지금은 이 사람들이 문제를 쉽게 만들어 버리는 요령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타고난 사람은 없고, 좋은 방법을 우연히 깨친 사람만 있다는 것이 진리다. 그래서 이분에게서 쉽게 하는 요령을 배우고 싶었다.
    3. 이분의 조언 : 먼저 큰 그림을 그려라. 군더더기는 다 없애라. 더 쉽게 하는 방법은 없는지 궁리하라. 일을 하기 전에 어떻게 구상을 하고 필요한 정보들이 있으면 미리 알아보고 디자인을 미리 해놓아라.
    4. 가장 크게 와 닿았던 건, 차분함과 여유였다. 그것이 저 조언들을 할 수 있는 심리적 기반이 되는 것이라고 느꼈다.

    다른 분의 개발 블로그를 보고 나서

    1. 리액트 과제물 수준이 뛰어난 분의 블로그를 봤는데, 배울 점이 많았다.
    2. 사소한 것이라도 배운건 매일 블로그에 기록하기 : 시간이 없다거나 공부각 버겁다는 핑계로 블로그를 안해서 받는 손해는 내 책임이다. 그러니 나도 이분처럼 작은 것이라도 매일 기록하겠다.
    3. 배운 코드, 지식을 블로그에 적어서 정리하기 : 지식나눔도 되고 배운것을 기록하니 뇌에 더 남는다. 그리고 필요하면 찾아서 보는 나만의 메모장 도서관이 된다. 나도 이렇게 정리해야겠다.

    이제 33일이 지났으니 1/3이 지났다. 남은 2/3 기간동안은 매일 블로그도 쓰고 배운 지식을 찐 내것이 되도록 연습하는데 몰두할 작정이다.

    댓글

금손이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고자 오늘도 존버중